[양지노인복지관] 올바르게 분노하는 방법(part.2)
페이지 정보

본문
삶 속에서 실천해 보기
1. 적절한 시간 찾기
바보같이 들릴 수도 있겠지만 갈등을 위한 시간을 계획할 필요가 있습니다.
배고프거나, 화가 나거나, 외롭거나, 피곤하거나 아플 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안 됩니다.
2. 환경 설정하기
가능하다면 몇 가지 간단한 기본 규칙을 만들고 시작해야 합니다.
(예: 다른 사람이 말할 때 자르지 않음, 욕하지 않음,
비난하지 않음, 화가 나면 잠시 쉴 수 있음 등)
그 사람이 아닌 갈등이 문제인 것이고
그 사람과 더 나은 관계를 가지려고 하기 때문에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도록 하고, 침착하고,
인내하고, 존경심을 가져야 합니다.
3. 정보 수집하기
듣고 있는 것이 동의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여기서 근본적인 관심사, 필요 그리고 염려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하며
상대방의 관점을 묻고, 의견을 존중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조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동기와 목표, 행동이 어떻게 이것들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갈등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예시로 문제가 가족 관계, 모임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개인의 성격은 토론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경청은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갈등을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즉 먼저 이해하려 하고, 그다음에 이해받아야 합니다.
4. 문제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만들라.
다른 사람을 비난하거나 그들의 감정과 동기가 무엇인지 말하지 말고
대신 아이-메시지(-Statermend)를 사용하여
감정, 결정, 행동을 표현해야 합니다.
"나는 이린 이유로 좌절감을 느껴."
"그런 일이 있을 때 나는 그렇게 하기로 결정했어"
보디랭귀지(조금 앞으로 기울여서 눈을 마주지고 목소리를 맞추고,
말하는 속도를 늦추는 등)를 사용하여 능동적인 경청을 해야 합니다.
5. 문제에 대해 동의하기
종종 서로 다른 근본적인 필요, 관심사, 목표는
사람들로 하여금 문제를 매우 다르게 인식합니다.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전에
해결하려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동의해야 합니다.
때때로 사람들이 서로 다르지만 서로 맞물리는 문제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문제에 대한 공통된 인식에 도달할 수 없다면
최소한 다른 사람이 무엇 을 문제로 보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6. 가능한 해결책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하기
만약 모든 사람이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데
공정하게 의견을 냈다면 모두가 그 해결책에 만족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해결책을 브레인스토밍 하면서
이전에 생각해 본 적이 없는 생각들을
포함하여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7. 해결 방안 협상하기
이 단계에 이르면 갈등이 이미 해결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양 측은 상대방의 입장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상호 만족스러운 해결책을 얻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여러분은
실제적인 서로의 입장 차이를 발견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 윈-윈 협상과 같은 어느 정도는
모두를 만족시키는 해결책을 찾는 데 유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 삶 속에서 만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더 좋고, 더 행복하고, 더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세요,
우리 인생에서 올바르게 분노하면서 살려고 노력해 봅시다.
- 이전글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식습관 22.12.30
- 다음글[양지노인복지관] 올바르게 분노하는 방법(part.1) 22.12.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